한국어 메뉴/열린SDGs포럼

[제8회 열린 SDGs 포럼 세부 프로그램_8/28(목) 10:00~17:30

Korea SDGs Network 2025. 8. 4. 16:34

2025.8.4. 기준

시간 프로그램
09:00~10:00 참가등록
10:00~10:30
(30)
개회식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Ø 
진행: 박기연 SDGs시민넷 운영위원/()로하스협회 이사

Ø  개회사: 외교부 장관/차관
Ø  환영사: 이덕희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대표
Ø  축사: 국회의원,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협의회장 (83주 중 확정 예정)
Ø  단체 사진 촬영
  전체회의1 | 국내외 SDGs 이행 동향과 주요 이슈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Ø 
사회: 정철영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 (섭외 중)

Ø  발제1(20). SDGs 이행 국제 동향 및 주요 이슈 (유엔 회원국 및 한국의 SDGs 이행 현황과 시사점, 2024 미래정상회의, 기후변화협약, G7 G20, 국제플라스틱협약 등 주요 내용, 국제 다자 협력 체제 위축 등 주요 국제 이슈 현황 포함) / 정경화 외교부 국제개발의제과 과장
Ø  발제2(20). 국내 SDGs 이행 현황과 주요 실천 과제(2024 국가SD평가결과, 2026-2045 국가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진행 현황, 국가SDGs 이행점검체계 현황 등) / 권영상 국무조정실 지속가능발전추진단 부단장
Ø  토론1(7)(시민사회) 최한별 SDGs시민넷 운영위원/한국장애포럼 사무국장
Ø  토론2(7)(기업) 유엔글로벌콤팩트한국협회(UNGC) (예정)
Ø  토론3(7)(노동) 이신송 한국노총 정책국장
Ø  토론4(7)(지방정부) 심현민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장
Ø  토론5(7)(청년) 김진원 SDSN Youth Korea 간사
Ø  전체 토론(45)
12:30~14:00 점심식사(90)
14:00~15:20
(80)
주제 회의1 | 에너지 전환과 전력산업 개편(SDG 7, 9, 13)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Ÿ   기후 위기 대응 위한 국내외 에너지 전환 전략 및 정책 현황과 시사점, 그리고 한국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전력 산업 혁신 과제에 대해 논의
Ÿ   에너지 전환 및 전력산업 개편을 둘러싼 주요 이해관계자들인 산업계, 노동계, 기후에너지운동그룹, 환경생태운동그룹의 관점을 공유하고 통합적인 해결방안을 모색
주제 회의2 | 산업시설과 친환경 도시재생(SDG 6, 9, 11, 15) (장소: 7층 회의실)
Ÿ   산업시설의 지역 내 경제, 사회, 환경적 영향과 정책과제, 그리고 폐광, 폐발전소 등 폐산업시설 지역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사례와 과제에 대해 논의
Ÿ   환경단체, 도시재생 전문가, 기업, 지방행정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공유하고 고려사항들에 대해 토의

Ø  사회: 김춘이 기후생태연대 대표
Ø 발제1(15) 탄소중립 및 에너지 안보를 위한 에너지 믹스 전략 / 문양택 산업자원통상부 전력산업정책과 과장 
Ø 발제2(15)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력산업 개편 방안 /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Ø  토론1(10) (기업계) (섭외 중)
Ø  토론2(10) (노조) 노유근 한국노총 전력연맹 정책실장
Ø  전체 토론(30)
Ø  사회: 허재영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상임회장 
Ø  발제1(15): 낙동강 최상류 영풍석포제련소의 환경오염과 지역사회의 딜레마 / 안동환경운동연합 
Ø  발제2(15): 폐산업지역의 도시재생 국내외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 정혜영 지역입지분석연구소 대표 
Ø  토론1(10) (기업/산업계 관계자) 경제적 관점에서의 친환경 산업인프라 구축 과제 (섭외 중)
Ø  토론2(10) (지방행정 관계자) 지방자치행정 관점에서 산업/상업시설 유치와 딜레마 / 권상동 마을만들기전국네트워크 공동운영위원장 
Ø  전체 토론(30)
15:20~15:30 휴식
15:30~16:50
(80)
주제 회의3 | 지역 지속가능성과 교통 인프라(SDG 9, 11)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Ÿ   한국 도시화율 90%, 기후위기 대응, 고령화로 인한 농촌 소멸 현실에서 '도시계획' 방향을 어떻게 잡을 지, 도시계획의 핵심 인프라 중 하나인 도로와 교통을 통해 지역의 교통 인프라 과제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이야기
Ÿ   도시계획 교통 전문가, 지방정부, 장애 그룹, 농촌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공유하고 통합적 해결 방안 모색
주제 회의4 | 디지털/AI 시대 민주주의의 지속가능성(SDG 9, 16) (장소: 7층 회의실)
Ÿ   디지털/AI 시대 주요 국내외 경제, 사회 이슈 현황을 짚어보고, 포용적인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해 이야기
Ÿ   기업, 디지털 전문가, 청년, 시니어 그룹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공유하고 대안을 모색


Ø  사회: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소장 
Ø  발제1(15) 도시 교통의 포용성 및 환경성을 중심으로 본 도시계획 지속가능성과 과제 / 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Ø  발제2(15) (지자체 사례) (섭외 중)
Ø  토론1(10) (장애 그룹) 이은정(초록)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 정책국장
Ø  토론2(10) (농촌주민) 오용석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Ø  전체 토론(30)
Ø  사회: 구본권 한겨레신문사 선임기자(전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연구소 소장
Ø  발제1(15) 디지털/AI 민주주의 관련 국내 시민사회의 주요 이슈 및 정책 현황 / 오병일 진보네트워크센터 대표 
Ø  발제2(15) (기업계) (섭외 중)
Ø  토론1(10) (청년 그룹) 강승민 SDP 지속가능발전학회 회장
Ø  토론2(10) (시니어 그룹) 이은주 한국평생교육HRD학회 이사 
Ø  전체 토론(30)
16:50~17:00 휴식
17:00~17:30 폐회식
Ø  진행: 박기연 SDGs시민넷 운영위원/()로하스협회 이사
Ø  종합정리: 주제 회의 주요 논의 내용 보고(5/*4)
Ø  청년 성명서 발표(5) / 윤지희 SDSN Youth Korea
Ø  안내: 국가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이해관계자 포럼, 유엔 SDGs 이행 점검 일정 및 참가 안내(동북아/아시아태평양/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