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8.4. 기준
시간 | 프로그램 | |
09:00~10:00 | 참가등록 | |
10:00~10:30 (30분) |
개회식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Ø 진행: 박기연 SDGs시민넷 운영위원/(사)로하스협회 이사 Ø 개회사: 외교부 장관/차관 Ø 환영사: 이덕희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대표 Ø 축사: 국회의원,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협의회장 (8월 3주 중 확정 예정) Ø 단체 사진 촬영 |
|
전체회의1 | 국내외 SDGs 이행 동향과 주요 이슈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Ø 사회: 정철영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 (섭외 중) Ø 발제1(20분). SDGs 이행 국제 동향 및 주요 이슈 (유엔 회원국 및 한국의 SDGs 이행 현황과 시사점, 2024 미래정상회의, 기후변화협약, G7 및 G20, 국제플라스틱협약 등 주요 내용, 국제 다자 협력 체제 위축 등 주요 국제 이슈 현황 포함) / 정경화 외교부 국제개발의제과 과장 Ø 발제2(20분). 국내 SDGs 이행 현황과 주요 실천 과제(2024 국가SD평가결과, 2026-2045 국가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진행 현황, 국가SDGs 이행점검체계 현황 등) / 권영상 국무조정실 지속가능발전추진단 부단장 Ø 토론1(7분)(시민사회) 최한별 SDGs시민넷 운영위원/한국장애포럼 사무국장 Ø 토론2(7분)(기업) 유엔글로벌콤팩트한국협회(UNGC) (예정) Ø 토론3(7분)(노동) 이신송 한국노총 정책국장 Ø 토론4(7분)(지방정부) 심현민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장 Ø 토론5(7분)(청년) 김진원 SDSN Youth Korea 간사 Ø 전체 토론(45분) |
||
12:30~14:00 | 점심식사(90분) | |
14:00~15:20 (80분) |
주제 회의1 | 에너지 전환과 전력산업 개편(SDG 7, 9, 13)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기후 위기 대응 위한 국내외 에너지 전환 전략 및 정책 현황과 시사점, 그리고 한국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전력 산업 혁신 과제에 대해 논의 에너지 전환 및 전력산업 개편을 둘러싼 주요 이해관계자들인 산업계, 노동계, 기후에너지운동그룹, 환경생태운동그룹의 관점을 공유하고 통합적인 해결방안을 모색 |
주제 회의2 | 산업시설과 친환경 도시재생(SDG 6, 9, 11, 15) (장소: 7층 회의실) 산업시설의 지역 내 경제, 사회, 환경적 영향과 정책과제, 그리고 폐광, 폐발전소 등 폐산업시설 지역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사례와 과제에 대해 논의 환경단체, 도시재생 전문가, 기업, 지방행정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공유하고 고려사항들에 대해 토의 |
Ø 사회: 김춘이 기후생태연대 대표 Ø 발제1(15분) 탄소중립 및 에너지 안보를 위한 에너지 믹스 전략 / 문양택 산업자원통상부 전력산업정책과 과장 Ø 발제2(15분)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력산업 개편 방안 /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Ø 토론1(10분) (기업계) (섭외 중) Ø 토론2(10분) (노조) 노유근 한국노총 전력연맹 정책실장 Ø 전체 토론(30분) |
Ø 사회: 허재영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상임회장 Ø 발제1(15분): 낙동강 최상류 영풍석포제련소의 환경오염과 지역사회의 딜레마 / 안동환경운동연합 Ø 발제2(15분): 폐산업지역의 도시재생 국내외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 정혜영 지역입지분석연구소 대표 Ø 토론1(10분) (기업/산업계 관계자) 경제적 관점에서의 친환경 산업인프라 구축 과제 (섭외 중) Ø 토론2(10분) (지방행정 관계자) 지방자치행정 관점에서 산업/상업시설 유치와 딜레마 / 권상동 마을만들기전국네트워크 공동운영위원장 Ø 전체 토론(30분) |
|
15:20~15:30 | 휴식 | |
15:30~16:50 (80분) |
주제 회의3 | 지역 지속가능성과 교통 인프라(SDG 9, 11) (장소: 지하1층 대회의실) 한국 도시화율 90%, 기후위기 대응, 고령화로 인한 농촌 소멸 현실에서 '도시계획' 방향을 어떻게 잡을 지, 도시계획의 핵심 인프라 중 하나인 도로와 교통을 통해 지역의 교통 인프라 과제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이야기 도시계획 교통 전문가, 지방정부, 장애 그룹, 농촌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공유하고 통합적 해결 방안 모색 |
주제 회의4 | 디지털/AI 시대 민주주의의 지속가능성(SDG 9, 16) (장소: 7층 회의실) 디지털/AI 시대 주요 국내외 경제, 사회 이슈 현황을 짚어보고, 포용적인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해 이야기 기업, 디지털 전문가, 청년, 시니어 그룹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공유하고 대안을 모색 |
Ø 사회: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소장 Ø 발제1(15분) 도시 교통의 포용성 및 환경성을 중심으로 본 도시계획 지속가능성과 과제 / 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Ø 발제2(15분) (지자체 사례) (섭외 중) Ø 토론1(10분) (장애 그룹) 이은정(초록)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 정책국장 Ø 토론2(10분) (농촌주민) 오용석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Ø 전체 토론(30분) |
Ø 사회: 구본권 한겨레신문사 선임기자(전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연구소 소장) Ø 발제1(15분) 디지털/AI 민주주의 관련 국내 시민사회의 주요 이슈 및 정책 현황 / 오병일 진보네트워크센터 대표 Ø 발제2(15분) (기업계) (섭외 중) Ø 토론1(10분) (청년 그룹) 강승민 SDP 지속가능발전학회 회장 Ø 토론2(10분) (시니어 그룹) 이은주 한국평생교육HRD학회 이사 Ø 전체 토론(30분) |
|
16:50~17:00 | 휴식 | |
17:00~17:30 | 폐회식 Ø 진행: 박기연 SDGs시민넷 운영위원/(사)로하스협회 이사 Ø 종합정리: 주제 회의 주요 논의 내용 보고(5분/인*4인) Ø 청년 성명서 발표(5분) / 윤지희 SDSN Youth Korea Ø 안내: 국가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이해관계자 포럼, 유엔 SDGs 이행 점검 일정 및 참가 안내(동북아/아시아태평양/글로벌) |
'한국어 메뉴 > 열린SDGs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회 열린SDGs포럼] 행사 참가 안내_8/28(목) 10:00~17:30 (0) | 2025.07.24 |
---|---|
[제7회 열린SDGs포럼] 자료집 및 영상 둘러보기 (0) | 2024.06.19 |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외 이행 현황을 점검하는 제7회 열린SDGs포럼 열려(2024. 6. 7.) (1) | 2024.06.12 |
[안내] 제7회 열린SDGs포럼(6/7 13:00), 유튜브 참석 링크&당일 배포 자료집 (0) | 2024.06.03 |
2024년 6월 7일(금) 오후 1시, 제7회 열린SDGs포럼 개최 예정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