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메뉴/SDGs시민넷 역량강화19

제 4차 세미나 | 사회 분야 SDGs 이행 현황과 과제(SDG 1, 3, 4, 5, 10, 11)_10/29(수) 19:00 안녕하세요, SDGs시민넷 2025년 역량강화 온라인 세미나 시리즈 제4차 세미나를 아래와 같이 마련합니다. 지난 10여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불평등 심화로 인한 정치, 사회의 양극화가 가중되면서 전쟁 위기도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유'와 '민주주의' 최선봉에 있던 미국이 제2차 대전 종전 100년도 안되어 이렇게까지 흔들릴 것이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요?양극화의 근원인 경제적 부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사회운동그룹의 노력을 지난 9월 세미나에서 함께 공유한 바 있습니다.이번 4차 세미나에서는 경제적 부정의의 결과이자 원인이기도 한 사회적 부정의와 격차를 줄이기 위해 애쓰고 있는 사회운동그룹의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많은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참가신청등록 (여기 클릭!)10/29(수.. 2025. 10. 13.
제3차 세미나 | 경제 분야 SDGs 이행 현황과 과제(SDG 2, 7, 8, 9, 12)_9/24(수) 19:00 발제자료발제1_강민수_사회연대경제와 미래사회발제2_김건영_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력 거버넌스 개선 방향발제3_문도운&유혜인_국제플라스틱협약과 자원순환 이슈발제4_이신송_SDGs와 일터권리 보장법 2025. 9. 24.
제2차 세미나 | 지속가능발전 이해관계집단 숙의공론화체계 구축과 운영 방안_8/20, 19:00 발제1_이태호_참여적 정책 의사결정제도의 현황과 과제발제2_윤경효_지속가능발전 이해관계집단 숙의공론체계(안)과 정치적 시사점 2025. 7. 24.
제1차 세미나 | 개관: 유엔SDGs 이행 10년, 현황과 과제_7/23, 19:00 안녕하세요,2025 SDGs시민넷 월간 세미나 시리즈의 첫번째는 국내외 SDGs 이행 현황과 주요 국내외 정책 이슈를 개관합니다.유엔은 1992년 '지속가능발전'을 기치로 기업ESG(2004), 기후변화협약(2015), 디지털콤팩트(2024) 등 굵직한 국제협력체제를 구축해 오고 있습니다.이러한 국제정치경제협력 흐름에 따라 세계경제포럼(일명 다보스 포럼)은 2018년 총회에서 유엔 SDGs 거버넌스에 적극 참여하기로 의결했고, 이후 G7, G20 등 주요 경제협력체제들의 주요 논의 의제로 SDGs 이행이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한국의 경우, 2000년 대통령 직속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설치되고, 지방정부들을 중심으로 민관협력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가 2010년 이후 정책적인 역할과 영향력이 미미해졌.. 2025. 6. 30.
SDGs시민넷 2025 역량 강화 세미나 시리즈 진행 올해는 유엔 SDGs 채택 10주년으로, 목표 달성까지 5년이 남은 시점입니다. 유엔은 지난 30여 년간 ‘지속가능발전’을 기본 원리로 삼아 기업 ESG, 기후변화협약, 디지털 콤팩트 등 국제 협력을 이끌어 왔습니다.우리가 유엔의 SDGs 체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경제, 사회, 환경 정책의 통합 조정 원리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양자 협력 체제와 달리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집단들의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한국에서는 2022년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이 제정되고, 대통령 직속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와 지속가능발전추진단이 설치되어 정책 추진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국제 정치·경제 동향이 국내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SDGs시민넷은 일련의 세미나를 통해 국내외 이행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정책.. 2025.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