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메뉴/SDGs시민넷 소개8

문의처 사무국 (사)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26길 39, 5층(시민공간 나루)전화. 02-706-6179 이메일. sdgenetkorea@gmail.com홈페이지. www.sdgforum.org 찾아오는 방법* 교통편 (지하철) 6호선 망원역 1번 출구 도보 10분 (버스) 217번(망원우체국/월드컵시장역 하차), 7013A, 7013B(성서초등학교역 하차) 2018. 4. 24.
SDGs시민넷 정관 한국 시민사회 SDGs 네트워크 운영규정 제정 2017. 04. 06. 제1장 총 칙 제1조 (명칭) 이 단체는 한국 시민사회 SDGs 네트워크(이하 “SDGs시민넷”이라 하고, 영문은 Korea SDGs Network로 표기한다제2조 (목적) SDGs시민넷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실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① 국내외 SDGs 달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책임 강화를 위한 활동 전개 ② 시민사회의 SDGs 정책 역량 강화 ③ 참여단체간 SDGs 관련 정보교류 및 활동 협력제3조 (기본원칙) SDGs시민넷의 활동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기반한다. ① SDGs의 기본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비판적 운동 관점(critical thinking) 견지 ② 활동 중심 네트워크 운영제4조 (소재지) SDGs시민넷 사무소는 사.. 2018. 4. 24.
SDGs시민넷에 대하여 ■ 개요국내 시민사회의 SDGs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옹호활동을 위해 2016. 8월 결성되어, 2017. 4월 공식 발족.2025.3월 기준, 여성, 장애인, 청년, 사회적 경제, 공정무역, 에너지, 주거, 교육, 평화, 보건의료, 기후변화, 환경, 거버넌스 등 10개 분야 24개 시민사회단체 및 전국연대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조직 및 시민단체연대조직의 회원단체 규모를 고려하면 총 218개 단체들이 동참.SDGs시민넷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속가능발전포럼(APFSD)’ 시민사회참여체계(AP-RCEM) 운영위원단체(동북아지역 대표)이자, UN 고위급정치포럼(HLPF) 다양한 이해관계자 그룹(MGoS) 참여체계 내 NGO그룹 회원단체로써, SDGs 관.. 2018.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