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10 제1차 세미나 | 개관: 유엔SDGs 이행 10년, 현황과 과제_7/23, 19:00 안녕하세요,2025 SDGs시민넷 월간 세미나 시리즈의 첫번째는 국내외 SDGs 이행 현황과 주요 국내외 정책 이슈를 개관합니다.유엔은 1992년 '지속가능발전'을 기치로 기업ESG(2004), 기후변화협약(2015), 디지털콤팩트(2024) 등 굵직한 국제협력체제를 구축해 오고 있습니다.이러한 국제정치경제협력 흐름에 따라 세계경제포럼(일명 다보스 포럼)은 2018년 총회에서 유엔 SDGs 거버넌스에 적극 참여하기로 의결했고, 이후 G7, G20 등 주요 경제협력체제들의 주요 논의 의제로 SDGs 이행이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한국의 경우, 2000년 대통령 직속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설치되고, 지방정부들을 중심으로 민관협력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가 2010년 이후 정책적인 역할과 영향력이 미미해졌.. 2025. 6. 30. SDGs시민넷 2025 역량 강화 세미나 시리즈 진행 올해는 유엔 SDGs 채택 10주년으로, 목표 달성까지 5년이 남은 시점입니다. 유엔은 지난 30여 년간 ‘지속가능발전’을 기본 원리로 삼아 기업 ESG, 기후변화협약, 디지털 콤팩트 등 국제 협력을 이끌어 왔습니다.우리가 유엔의 SDGs 체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경제, 사회, 환경 정책의 통합 조정 원리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양자 협력 체제와 달리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집단들의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한국에서는 2022년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이 제정되고, 대통령 직속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와 지속가능발전추진단이 설치되어 정책 추진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국제 정치·경제 동향이 국내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SDGs시민넷은 일련의 세미나를 통해 국내외 이행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정책.. 2025. 6. 30. The Statement of North-East Asian Civil Society for 2025 HLPF We are sharing a position paper from a group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on the topics for review at the 2025 High-Level Political Forum on SDGs(July 14-23, UN Headquarters, New York): SDG 3, 5, 8, 14, and 17.The United Nations organizes bottom-up deliberative processes prior to the High-level Political Forum at the global level every July, through the Northeast A.. 2025. 6. 10. [국제] 2025 유엔 SDGs 고위급 정치 포럼 대응 동북아 시민 사회 공동 선언문 안녕하세요,2025 유엔SDGs 고위급 정치포럼(7/14~7/23, 뉴욕 유엔본부)의 논의 주제와 관련하여, 동북아 지역 시민사회그룹의 입장문서를 공유합니다.유엔은 매년 7월 글로벌 차원의 고위급 정치 포럼 이전에 '동북아 이해관계자 SDGs포럼(NEA Muti-stakeholder Forum on SDGs, 10월~11월, 동북아 회원국 순회 주최)', '아시아 태평양 지속가능발전포럼(APFSD, 2월말, 방콕 아태본부)'를 통해 상향식 숙의공론화 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이번 동북아 시민사회 선언문은 지난 2024.10.21~10.23, 인천 송도에서 개최되었던 '제8회 동북아 이해관계자 SDGs포럼'에 참여한 시민사회 참가자들이 공동으로 작성한 것입니다.선언문 초안은 동북아 시민사회포럼(10/21).. 2025. 6. 10. [국제] 2025년 고위급 정치포럼: 글로벌 시민단체 입장문서 2025년 고위급 정치 포럼(HLPF)(7/14~7/23, 뉴욕 유엔본부)에 제출한 NGO 그룹의 입장문서를 공유합니다. 1. 개관 2. SDG 3 | 건강과 웰빙 3. SDG 5 | 성평등 4. SDG 8 |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5. SDG 14 | 해양생태계 6. SDG 17 | 목표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7. 전반적인 정치적 과정에 대한 제안------------------------------------------------------------------1. 개관2030 의제를 달성하려면 공동의 책임, 국제적 협력, 집단적 행동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민족주의와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다자주의가 약화되면서 협력과 국제법의 정신이 약화되어 빈곤, 불평등, 분쟁, 지구의 3대 위기 등 시급한 .. 2025. 6. 5. 이전 1 2 3 4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