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6

[동북아포럼] 제9회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 참가 안내_10/21~10/23, 울란바토르 안녕하세요,'2030 지속가능발전 의제(유엔 지속가능발전 목표 UN SDGs)'의 공식 숙의공론 과정의 첫번째 단계인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이 아래와 같이 개최됩니다.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행사명: 제9회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검토목표: 물/위생(SDG 6), 에너지(SDG 7), 산업인프라혁신(SDG 9), 도시(SDG 11), 이행수단 및 협력(SDG 17)일시: 10/21(화)~10/23(목) - 10/21 동북아 시민사회포럼, 10/22~10/23 본회의장소: 몽골 울란바토르 (몽골 외교부) 참석대상: 동북아 6개국 정부, 이해관계집단, 국제기구 관계자 100여 명 (* 동북아 6개국: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참가등록: 참가등록신청서(영문)비.. 2025. 9. 22.
[동북아 포럼] <2025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포럼> 한국 발제자 및 대표단 선정 안내 안녕하세요,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한국의 시민사회 발제자 및 대표단 현황과 선정 방법 및 절차를 안내드립니다.[2025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포럼 한국 시민사회 대표단]No이름소속 및 직책선정 이유이해관계자그룹성별연령대대표단 내 역할비고1윤경효-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이사 - SDGs시민넷 운영위원장- 한국 시민사회 대표 연락담당- UNESCAP 및 동북아시민사회그룹과 네트워크 및 협력 지원- 정책 활동가시민단체여40대- 대표단 활동 조직- 동북아 시민사회 공동 활동 조직 등현장 참석(재정지원)2김수동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 제8회 열린SDGs포럼 발제자- SDG 6, 7, 9, 11 현장 이슈 발제- 지역 현장활동가시민단체남60대- 시민사회포럼 발표(SDG6)현장 참석(재정지원)3김건영기후솔루션 변.. 2025. 9. 15.
[국내]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일부 개정안 발의...숙의공론장 운영 정례화가 핵심 지난 2025.7.10. 일부 개정안(대표발의 민병덕)이 발의되었습니다.지난 2022년 이 제정되었으나, 법 제정 후 2년 후에야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구성(2024.10월)되고,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 중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에 따른 조례 제정 및 위원회 구성, 기본전략 수립 등을 이행한 곳은 약 50%에 불과해 정부의 이행 수준이 미흡하다는 문제 인식이 바탕이 되었습니다.또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의 핵심 권고 사항이자 지속가능발전 실효적 이행의 핵심인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의 숙의 공론화장 운영을 통한 의견 수렴(법 제29조)은 임의적 조항이라 전혀 진행되지 못하는 등 법제도의 실효성이 전무하다 점도 지적되었습니다.한편, 국제민간정책연구소인 지속가능발전해법연구소(SDSN)의 보고서에 .. 2025. 9. 5.
[국내] 이재명 정부 123대 국정 과제 중 하나로 '지속가능발전' 제시 지난 2025.8.13.(수)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위원장 이한주)는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보고대회를 개최하고, 이재명정부의 국정 청사진인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SDGs시민넷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유엔글로벌콤팩트한국협회,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함께 7월~8월 국정기획위원회와 면담을 갖고,1) 21세기 정치, 경제, 사회 담론이자 국제협력 기조인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과 철학이 국정과제 전반에 반영될 것;2) 국민주권 실현 방안의 하나로써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및 평가시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숙의공론 체계 구축 및 정례화' 제안;3) 또한, 대선 공약이었던 '국제사회 공헌과 G7+ 외교 강국 실현'을 실천하는 주요 .. 2025. 9. 5.
[보도자료] SDGs시민넷, 제8회 열린 SDGs 포럼 개최 2026년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고위급 정치포럼(HLPF)’ 대응하여 국내 이해관계자들 의견 수렴‘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 및 디지털 전환과 미래 도시 모습 전망’을 주제로, SDG 6(물/위생), SDG 7(에너지), SDG 9(산업혁신), SDG 11(도시), SDG 17(국제협력 및 이행수단)에 대해 집중 논의참가자들, 효과적인 SDGs 이행 방안으로 정기적인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숙의 공론체계’ 제도화를 한 목소리로 요구포럼 논의 결과는 외교부 및 유엔 고위급 정치포럼 등에 제출 될 예정한국시민사회SDGs네트워크(이하 SDGs시민넷)가 외교부와 함께 8월 28일(목) 10:00~17:30 삼경교육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에서 ‘제8회 열린 SDGs 포럼’을 개최했다.정부부처, 시민.. 2025.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