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포럼>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한국의 시민사회 발제자 및 대표단 현황과 선정 방법 및 절차를 안내드립니다.
[2025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포럼 한국 시민사회 대표단]
No | 이름 | 소속 및 직책 | 선정 이유 | 이해 관계자그룹 |
성별 | 연령대 | 대표단 내 역할 | 비고 |
1 | 윤경효 | -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이사 - SDGs시민넷 운영위원장 |
- 한국 시민사회 대표 연락담당 - UNESCAP 및 동북아시민사회그룹과 네트워크 및 협력 지원 - 정책 활동가 |
시민 단체 |
여 | 40대 | - 대표단 활동 조직 - 동북아 시민사회 공동 활동 조직 등 |
현장 참석(재정지원) |
2 | 김수동 | 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 | - 제8회 열린SDGs포럼 발제자 - SDG 6, 7, 9, 11 현장 이슈 발제 - 지역 현장활동가 |
시민 단체 |
남 | 60대 | - 시민사회포럼 발표(SDG6) | 현장 참석(재정지원) |
3 | 김건영 | 기후솔루션 연구원(변호사) | - 제8회 열린SDGs포럼 발제참여 단체의 추천(에너지전환포럼) - SDG 7, 9, 13 이슈 발제 - 정책 활동가 |
시민 단체 |
여 | - 시민사회포럼 발표(SDG 7) - 본회의 동북아시민사회 대표 패널 토론(SDG 7) |
현장 참석(자부담) | |
4 | 전북 완주군 서봉마을주민협의회 | - 제8회 열린SDGs포럼 토론참여 단체의 추천(서봉마을주민협의회) - SDG 9, 11 현장 이슈 발제 - 지역 현장활동가 |
주민 조직 |
여 | - 시민사회포럼 발표(SDG 11) | 온라인 참석 | ||
5 | 오병일 | 진보네트워크 대표 | - 제8회 열린SDGs포럼 발제자 - SDG 9, 17 이슈 발제 - 정책 활동가 |
시민 단체 |
남 | 50대 | - 시민사회포럼 발표(SDG 17) | 온라인 참석 |
6 | 정혜란 | 한국장애포럼 | - SDGs시민넷 운영위 단체 - 장애그룹 대표 - 정책 활동가 |
장애인 | 여 | 30대 | - 동북아 시민사회포럼 기획 및 운영 참여 - 동북아시민사회공동성명서 작성 실무그룹 참여 - 시민사회포럼 및 본회의 청중토론 참여 |
현장 참석(재정지원) |
7 | 김진원 | SDSN Youth Korea | - 제8회 열린SDGs포럼 토론자 - 청년그룹 대표 - 정책 활동가 |
청년 | 여 | 20대 | - 동북아 시민사회포럼 기획 및 운영 참여 - 동북아시민사회공동성명서 작성 실무그룹 참여 - 시민사회포럼 및 본회의 청중토론 참여 |
현장 참석(재정지원) |
[발제자 선정]
1. 선정 기준 및 대상
- 선정대상: '제8회 열린SDGs포럼(2025.8.28. 서울, 공동주최 외교부, SDGs시민넷)'에 참석한 발제 또는 토론자 중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 SDGs관련 공식 국내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공론장과 유엔SDGs 이행점검체계와 연계 목적
- 선정(발제)분야: 물(SDG 6), 에너지&산업(SDG 7 & 9), 도시&산업(SDG 9 & 11), 금융/재정&디지털/AI기술&파트너십(SDG 17)
- 선정인원: 총 4개 주제분야, 총 4인 (1인/분야)
- 주제분야별 시민사회 발제/토론자 중 1) 동북아 등 국제 차원 연대/협력 가능성이 높은 사안 또는 2) 국내 정치적 상황에 따른 대외 옹호활동 필요성이 높은 사안을 우선하여 발제자 선정
- 기본적인 영어 소통 가능자(발표 등)
2. 선정 방법 및 절차
- 선정위원회 구성: SDGs시민넷 운영위원 + @(주제분야 시민사회단체)
- 선정위원회 심의: 9/2(화)~9/7(일)
- 최종명단 발표: 9/12(금)
[SDGs시민넷 대표단 구성]
한편, SDGs시민넷은 <2025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포럼> 에서의 조직적인 다양한 정책활동 및 동북아 시민사회 네트워크 교류를 위하여 한국 시민사회 대표단을 구성하여 파견합니다. 한국 시민사회 대표단 구성 기준 및 선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선정 기준 및 대상
- 대상: APRCEM 동북아 그룹 국가 연락 담당자(Focal Point), 동북아 시민사회포럼 발제자, 동북아 시민사회포럼 참가자
- 인원: 4인 내외
- 시민사회포럼 및 본포럼 모두 참석
- 시민사회포럼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참여
- 동북아 시민사회 공동성명서 초안 작성 참여
2. 선정 방법 및 절차
- 선정위원회 구성: SDGs시민넷 운영위원
- 선정위원회 심의: 9/2(화)~9/7(일)
- 최종명단 발표: 9/12(금)
3. 대표단 혜택: 출장비 70~100% 지원(항공비, 숙박비, 식비)
'한국어 메뉴 >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고위급 정치 포럼 대응 동북아 시민사회 성명서 (1) | 2022.09.23 |
---|---|
2022년 동북아SDGs포럼 주요 논의 결과 (0) | 2022.09.21 |
2023 고위급정치포럼 대응 동북아 시민사회 목소리 모음 영상 (0) | 2022.09.06 |
동북아SDGs포럼: 2022 시민사회 회의_9/2(금)_프로그램 & 발제자료 (0) | 2022.09.02 |
동북아SDGs포럼: 시민사회 회의 참가안내_9/2(금) 16:00~21:00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