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메뉴/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포럼31

Leaving no one behind Leaving no one behind - UN North-East Multistakeholder Forum on SDGs(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에 관한 동북아 다중이해관계자 포럼, 15-16 October 2019, Vladivostok, Russian Federation)을 다녀와서한준현PTCoop 사업총괄부장/KFTO(한국공정무역협의회)이사들어가기금번 러시아에서 개최된 3회 동북아 6개국 포럼에 한국공정무역협의회(KFTO; Korea Fair Trade Organization, 이하 ‘한공협’)를 대표하여 참석하게 된 점 우선 감사 드립니다. UN ESCAP에서 하부지역별 포럼(Sub-regional forum)을 동북아 6개국과 함께 개최한 것이 이번으로 세 번째라고 들었습니다. 한국 시민사회 SD.. 2019. 10. 19.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곧 목표이행의 결과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곧 목표이행의 결과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신선미 정책실장 〔현장에서 전하는 진정성〕 2019년 10월 1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연방극동대학교에서 UN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이 개최되었다. 러시아 56명(26명, 연방극동대학교 30명), 한국 35명, 북한 5명, 몽골 13명, 중국 11명, 일본 9명, 각국 블라디보스톡 주재영사 9명, 국제기구 및 기타 단체 8명, ESCAP 8명등 총 6개국 154여명이 이 회의에 참석하였다. 회의 첫날, 간볼드 바산야브 ESCAP회장은 인사말에서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 함께 할 때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그의 인사말은 회의 마지막 날 CSOs의 토론결과로 발표된 성명서 내용을 마치 사전 예견한 듯 하였다. 1.. 2019. 10. 18.
2018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동북아 시민사회 성명서 2018 동북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North-East Asian Multistakeholder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9/5(수)~9/6(목), 1박 2일, 몽골 울란바타르 동북아 시민사회 공동성명서 *******5 SEP 2018 TO 6 SEP 2018ULAANBAATAR, MONGOLIAESCAP, together with the United Nations Country Team in Mongolia and the National Development Agency of Mongolia, will organize the North-East Asian Multistakeholder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2018. 12. 4.
동북아시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 뉴스레터 (9.5. 수요일) 동북아시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 뉴스레터 ‘평화로운 사회(peaceful society)’가 ‘평화의 지속화(sustaining peace)’로 가는 길 하늬(피스모모 연구기획팀장) “9월의 울란바토르 날씨는 이렇게 자주 흐린 날이 많은가요?”“아니요, 최근에 들어와서 날씨가 무척 변덕스러워졌어요. 원래 맑은 날이 많았는데 말이죠.” 왜 그런 상상을 했는지 잘 모르겠지만, 저는 처음으로 가보게 되는 몽골 울란바토르의 하늘이 막연히 맑을 것이라 굳게 믿었습니다. 그런데 오후 늦게 도착한 울란바토르의 하늘은 구름이 잔뜩 낀 모습이었습니다. 기대가 크면 그만큼 실망이 크다고 하지요, 저는 아쉬운 마음에 몽골 활동가 한분께 여쭈어 봤습니다, 9월 초의 울란바토르의 날씨를요. 기후변화를 몸소 체감하며 한국과 .. 2018. 9. 11.
동북아SDGs이해관계자포럼 뉴스레터 (9.5. 수요일) 동북아시아 SDGs 이해관계자 포럼 뉴스레터 '양(Quantity)'과 '질(Quality)' 그 사이에서 문아영(교육연대체 씨앗 공동대표/ 피스모모 대표) 교육연대체 씨앗은 2018년 9월 5일과 6일 양일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제 2차 동북아시아 이해관계자 포럼에 한국 SDGs 시민넷 대표로 참여했습니다. 이번 포럼은 UN의 고위급 정치포럼(HLPF)의 2019년 검토 주제인 지속가능발전목표 4번 (교육), 8번(경제), 10번(불평등), 13번(기후변화), 16번(평화&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의 이행현황을 공유 및 점검하고,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 및 내년 고위급 정치포럼을 준비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는데요.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북한까지 총 6개 국가에서 정부, 학계.. 201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