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10

SDGs시민넷 정관 한국 시민사회 SDGs 네트워크 운영규정 제정 2017. 04. 06. 제1장 총 칙 제1조 (명칭) 이 단체는 한국 시민사회 SDGs 네트워크(이하 “SDGs시민넷”이라 하고, 영문은 Korea SDGs Network로 표기한다제2조 (목적) SDGs시민넷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실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① 국내외 SDGs 달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책임 강화를 위한 활동 전개 ② 시민사회의 SDGs 정책 역량 강화 ③ 참여단체간 SDGs 관련 정보교류 및 활동 협력제3조 (기본원칙) SDGs시민넷의 활동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기반한다. ① SDGs의 기본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비판적 운동 관점(critical thinking) 견지 ② 활동 중심 네트워크 운영제4조 (소재지) SDGs시민넷 사무소는 사.. 2018. 4. 24.
SDGs시민넷에 대하여 ■ 개요국내 시민사회의 SDGs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옹호활동을 위해 2016. 8월 결성되어, 2017. 4월 공식 발족.2025.3월 기준, 여성, 장애인, 청년, 사회적 경제, 공정무역, 에너지, 주거, 교육, 평화, 보건의료, 기후변화, 환경, 거버넌스 등 10개 분야 24개 시민사회단체 및 전국연대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조직 및 시민단체연대조직의 회원단체 규모를 고려하면 총 218개 단체들이 동참.SDGs시민넷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속가능발전포럼(APFSD)’ 시민사회참여체계(AP-RCEM) 운영위원단체(동북아지역 대표)이자, UN 고위급정치포럼(HLPF) 다양한 이해관계자 그룹(MGoS) 참여체계 내 NGO그룹 회원단체로써, SDGs 관.. 2018. 4. 24.
한국 시민사회 SDGs 네트워크 제5회 역량강화 세미나-현장이야기 한국 시민사회 SDGs 네트워크 제5회 역량강화 세미나2018년 고위급 정치포럼(HLPF) 대응 시민사회포럼:지속가능성과 복원력(Resilience)-환경분야 목표를 중심으로 현장기록글 / 김지윤, 박건우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 SDG 7 에너지 첫번째 세션 'SDG 7 에너지'는 이원호(한국도시연구소)의 진행으로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 연구 소장의 'SDG 7 지표 모니터링 결과 및 국내 주요 이슈 현황과 과제' 발제 후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정책국장이 패널로 참석하였다.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 연구 소장은 SDG 7 목표설정의 배경과 세부목표(지표)를 설명한 후 이에 대한 한국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7.1은 에너지 접근권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정부는 여전히 값싸고 풍부한 에너.. 2018. 4. 13.
2018 HLPF 대응 시민사회포럼-지속가능성과 복원력-환경분야 목표를 중심으로 2018. 4. 13.
2018년 유엔 SDGs 고위급정치포럼 (HLPF) 논의 주제 사전 세미나 성황리에 마쳐 흑성탈출, 99%를 위한 도시정의와 환경적 지속가능성:2018년 유엔 SDGs 고위급정치포럼 (HLPF) 논의 주제 사전 세미나 SDGs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시민넷,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한국국제개발협력센터 (KOICA)가 공동으로 주관한 2018년 유엔 SDGs 고위급정치포럼(HLPF) 논의주제 사전 세미나가 2017년 12월 11일 월요일 2-4시 반 사이에 서울시 마포구 창비학당 (창비서교빌딩) 지하 2층 50주년 홀에서 열렸다. 2018년 HLPF의 중점주제인 ‘도시지속가능성’과 ‘생산, 소비’와 연결시켜 ‘도시와 환경’이라는 테마로 진행된 본 세미나의 포문을 SDG 시민넷 공동위원장인 김춘이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앞으.. 2017. 12. 19.